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Git Remote Branch
    개발일지/git 2022. 6. 7. 16:13
    반응형

    ✅ 깃허브 사용시 원격 저장소에 있는 branch를 local로 가져와야 할 일이 발생.

    ✅ 예를들어 작업하던 컴퓨터 외 노트북에서 작업할 시 각 브랜치별로 작업하게 되는데, 컴퓨터 브랜치에서 작업했던 작업물을 노트북에서 확인하고 싶을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.

    ✅ 해당 remote branch는 원격 브랜치를 내 로컬 브랜치로 가지고 올 때 사용하며 이는 git clone이나 git pull로 해결할 수 없기에 해당 명령어가 존재한다.

     

    먼저 첫번째로 할 일은 git remote를 갱신하기 위해 하단과 같은 명령어를 작성한다. 

    $git remote update

    다음으로 원격 저장소의 branch 확인을 위해 하단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.

    $git branch -r 
    $git branch -a

    두 명령어 중 -r 옵션은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를 확인하는 명령어이고 -a 옵션은 로컬과 원격 저장소의 branch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이다.

     

    다음으로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를 가지고 오기 위해 하단과 같은 명령어를 작성한다.

    $git checkout -t origin/feat/write2

    다음 -t 옵션은 원격 저장소의 이름을 입력하게 될 경우 로컬에 동일한 이름의 branch를 생성하면서 해당 브랜치로 checkout 시켜준다.

    만약 다른 이름을 원할 경우 하단과 같은 코드를 작성해주면 된다.

    $git checkout -b [생성할 branch 이름] [원격 저장소의 branch 이름]
    참고 블로그 링크 : https://cjh5414.github.io/get-git-remote-branch/

    오류 발생 사항 1

     

    $git checkout -t origin/feat/write2

    상기 코드를 작성 시 다음과 같은 오류 사항이 발생하였다.

    코드 입력 시 오류 발생

    해당 오류는 이름이 모호하여 warning이 발생된 탓에 git branch -a를 확인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.

    git branch -a

    상기 사진과 확인을 통해 origin/feat/write2라는 브랜치는 로컬 브랜치에 생성이 되었으나 원격 저장소에 있는 feat/write2의 브랜치와 연동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다.

    구글링 결과 아무래도 remotes를 함께 작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라고 판단되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하였다.

    $git checkout -t remotes/origin/feat/write2

    해당 코드를 작성 완료할 경우 정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화면이 git bash에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.

    자동으로 Switched 된 브랜치를 vscode를 통해 확인해본 결과 정상적으로 원격 저장소에 올려놓았던 코드가 로컬 저장소로 다운 및 적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